2025년 비행기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 총정리 (여행 필수 체크리스트)
해외여행이나 출장 준비할 때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보조배터리(휴대용 충전기) 기내 반입 기준입니다.
특히 최근에는 대용량 배터리 제품이 많아지면서, “이거 들고 비행기 탈 수 있을까?”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
오늘은 2025년 최신 보조배터리 비행기 반입 규정을 정리해 드릴게요.
🔋 비행기 보조배터리 반입 기본 규정
모든 항공사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✅ 1. 위탁 수하물은 불가능
- 보조배터리는 절대 부치는 짐(위탁 수하물)에 넣을 수 없음
- 반드시 기내 반입만 가능
✅ 2. 용량(Wh, 와트시) 기준
배터리 용량(Wh) | 반입 가능 여부 | 조건 |
---|---|---|
100Wh 이하 (약 27,000mAh/3.7V) | 자유 반입 가능 | 개수 제한 거의 없음 (항공사별 차이 있음) |
100~160Wh 이하 (약 27,000~43,000mAh) | 2개 이내 가능 | ✈️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|
160Wh 초과 | 반입 불가 | 여객기 탑승 불가 |
👉 즉, 대부분의 보조배터리(10,000~20,000mAh)는 안전하게 기내 반입 가능합니다.

딱 이정도 수준까지는 가능합니다.
📐 Wh 계산 방법 (꼭 알아두세요)
보조배터리에 Wh가 직접 표시되지 않은 경우, 다음 공식으로 계산 가능합니다. Wh=mAh1000×VWh = \frac{mAh}{1000} \times V
예시:
- 20,000mAh / 3.7V →
20 × 3.7 = 74Wh
(100Wh 이하 → 자유 반입 가능) - 30,000mAh / 3.7V →
30 × 3.7 = 111Wh
(100~160Wh → 항공사 승인 필요)
✈️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규정 (대한항공·아시아나·저가항공)
항공사 | 100Wh 이하 | 100~160Wh | 160Wh 이상 |
---|---|---|---|
대한항공 | 자유 반입 (개수 제한 없음) | 사전 승인 후 2개까지 | 불가 |
아시아나항공 | 동일 (자유 반입) | 사전 승인 후 2개까지 | 불가 |
제주항공/티웨이/진에어 | 자유 반입 (최대 5개 제한 가능) | 사전 승인 후 2개까지 | 불가 |
외항사 (ANA, JAL 등) | IATA 규정 동일 | 사전 승인 후 2개까지 | 불가 |
💡 팁: 저가항공(LCC)은 100Wh 이하도 개수 제한이 있으니, 보조배터리를 여러 개 들고 간다면 반드시 항공사 공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📊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보조배터리를 캐리어에 넣어 부쳐도 되나요?
→ ❌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기내에 직접 들고 타야 합니다.
Q2. 30,000mAh 보조배터리도 반입 가능한가요?
→ ✅ 가능합니다. 다만 약 111Wh 수준이라, 항공사 사전 승인 후 2개 이내만 허용됩니다.
Q3. 보조배터리 여러 개 가져가도 되나요?
→ ✅ 100Wh 이하라면 대부분 허용되지만, 일부 항공사는 5개 이내로 제한합니다.
Q4. 노트북 배터리는 따로 계산해야 하나요?
→ ❌ 노트북·휴대폰 내부 배터리는 별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. 문제는 분리형 보조배터리입니다.
🚀 여행 전 체크리스트
- 보조배터리 용량(Wh) 확인하기
-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규정 재확인
- 100~160Wh 제품은 반드시 사전 승인 신청
- 기내 반입 가방에 넣기 (위탁 수하물 절대 금지)
📌 마무리
2025년 현재, 비행기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은 국제 규정(IATA)을 기반으로 전 세계 공통 적용됩니다.
핵심만 기억하세요 👉
- 100Wh 이하 → 자유 반입 가능
- 100~160Wh → 승인 필요, 2개 이내
- 160Wh 초과 → 불가
“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”